"천사 미사곡과 창작 성가 모음집" 악보의 내용 일부입니다

 

 

그레고리오 성가가 비단 훈련을 받은 성가대뿐만이 아니라 미사에 참석한 모든 이들이 함께 부르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 바로 오르간 반주입니다. 그레고리오 성가는 고전화성학적 이론과 개념이 아닌 교회 선법이라는 고유한 음계를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선율이라 해도 교회 선법 화성을 이해하지 못 한다면 오르간 반주를 위한 4성부 편곡은 할 수 없을 것입니다.
흔히 그레고리오 성가는 반주가 없는 아 카펠라(A Cappella)음악이라고 평가합니다.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러한 평가는, 그레고리오 성가가 처음 만들어 지고 불려 졌을 그 당시, 오르간은 지금처럼 흔한 악기가 아니었으며 게다가 그레고리오 성가가 수도원을 중심으로 불려지고 전승되어 온 관계로 굳이 반주가 필요하지 않았던 것이 그대로 전통이 되어버린 것에서 연유합니다.
로마전례에서는 미사에서 성가를 부를 때 성가대만 전부 부르거나 또는 처음부터 끝까지 성가대와 회중이 모두 함께 부르기 보다는, 주례사제와 독창자, 성가대, 회중이 서로 나누어 부르는 일종의 교창형식(cantus alternatus)을 중요시합니다. (출판된 악보집에는 번갈아 부르는 부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미사곡을 부를 때 성가대 또는 독창자는 오르간 반주 없이 불러도 어려움이 없을 것이지만 회중이 부르거나 모든 직무자와 회중이 함께 부를 때 오르간 반주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천사 미사곡을 비롯해 이 악보집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그레고리오 성가에 오르간 반주를 편곡해 놓은 것입니다. 창작 성가 모음은 성체와 성모님 현양이라는 주제만 가지고 작곡되어진 곡들입니다. 이 곡들은 성가대가 성체 후 묵상 곡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머리말 중에서-

 

 



차례 1. Kyrie(자비송) 2. Gloria in excelsis(대영광송) 3. CredoⅢ(신경) 4. 사도신경 5. Sanctus(거룩하시도다) 6. Pater Noster(주님의 기도) 7. 주님의 기도 맺음 환호송 8. Agnus Dei(하느님의 어린양) 9. Salve Regina 10. 모후이시며 11. Salve Regina(그레고리오 성가와 혼성합창) 12. 평화의 모후여 13. 아베 마리아 14. Tota pulchra(secundum thema loannis Sebastiani Bach) 15. Ave Maria(Rosario)(메쥬고리에 성모님) 16. 여인 중에 복되신 분 17. Ave verum 18. Ave Verum(성체 안에 계신 예수) 19. Tantum ergo 20. 지존하신 성체 21. 사랑의 성체여 22. O! Christe Domine Jesu(오! 그리스도 주 예수님) 23. Veni, Domine, visitare 24. Benedizione di S.Francesco 25. O sacrum convivium 26. 사랑의 송가

 

 



이대성(요한) : 작곡
* 서울 출생. * 로마 교황청 성음악대학 졸업. * 그레고리오 성가학, 성음악학, 성음악 작곡 학위 를 받고 이탈리아와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다. * 저서- <복된 성지, 로마를 찾아서>, <아! 로마> * 역서- <카시아의 리타>가 있으며, 다수의 오라토리오, 미사곡, 성주간 예절 등의 성음악 작곡. * 1990년 로마 교황청 설립 성음악 연구소 마니피캇 그레고리오 전문 합창단을 지휘하여 그레고리오 성가 원본과 수사본에 더욱 충실한 이론과 창법의 그레고리오 성가 미사곡(1-7) CD를 성바오로 미디어에서 출시했다. * 작곡 <성주간 부활 전례성가>, <대축일 미사곡> 등이 있다.